돼지의 식육 부산물의 종류와 특징 - 내장 부위

 

내장 부위

  • 염통 (심장): 돼지의 심장으로, 쫄깃하면서도 부드러운 식감을 가지고 있습니다. 특유의 냄새가 적어 순대나 구이, 볶음 등 다양하게 활용됩니다.
  • : 돼지의 간은 철분이 풍부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자랑합니다. 순대의 필수 재료이며, 전이나 볶음으로도 즐겨 먹습니다.
  • 허파: 돼지의 폐로, 스펀지처럼 폭신하고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입니다. 순대와 함께 삶아 먹거나 볶음 요리에 사용됩니다.
  • 비장 (지라): 돼지의 비장으로, 혈액을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. 순대와 함께 삶아 먹기도 하지만, 일반적인 식용으로는 덜 알려진 부위입니다. 특유의 퍽퍽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가지고 있습니다.
  • 콩팥 (신장): 돼지의 신장으로, 쫄깃하면서도 탄력 있는 식감을 가지고 있습니다. 특유의 냄새가 있어 손질이 중요하며, 주로 구이나 볶음으로 즐겨 먹습니다.
  • 위 (오소리감투): 돼지의 위장 중 일부로, 오소리감투는 모양이 오소리가 머리에 쓰는 감투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. 쫄깃하고 부드러운 식감이 일품이며, 순대국밥에 자주 들어가고 구이용으로도 인기가 많습니다.
  • 소창: 돼지의 작은창자로, 곱창 중 가장 가는 부위입니다. 안에 곱이 가득 차 있어 고소한 맛이 특징이며, 주로 구이나 전골로 즐겨 먹습니다.
  • 대창: 돼지의 큰창자로, 소창보다 두껍고 지방이 많아 더욱 고소하고 부드러운 맛을 냅니다. 주로 구이나 전골로 인기가 많습니다.
  • 막창: 돼지의 마지막 창자 부위로, 쫄깃하고 꼬들꼬들한 식감이 특징입니다. 구이용으로 가장 많이 소비됩니다.
  • 돼지곱창: 소창, 대창, 막창 등 창자 부위를 통칭하는 말입니다. 부위별로 식감과 맛이 다양하며, 주로 구이, 전골, 볶음 등으로 즐겨 먹습니다.
  • 도래창 (장간막): 돼지의 내장을 감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, 그물처럼 생겼습니다. 지방이 많아 고소하고 쫄깃한 식감을 가지고 있으며, 주로 구이용으로 사용됩니다.
  • 새끼보: 암퇘지의 자궁으로, 콜라겐이 풍부하여 쫄깃하고 탄력 있는 식감이 특징입니다. 주로 삶아서 편육처럼 먹거나 볶음 요리에 활용됩니다.
  • 젖가슴살: 암퇘지의 젖이 있는 가슴 부위로, 지방과 살코기가 적절히 섞여 있어 부드럽고 고소합니다. 주로 수육이나 구이로 즐겨 먹습니다.